선행의 실천 보잘 것 없는 사람 중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사람은 반드시 그 상을 받을 것이다하신 말씀은 기독교인에게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. 선행이라 함을 성서속의 종교적 특성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고, 덕을 세우는 정도의 신앙모습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. 그러한 오류에 빠질 수 있는 우리에게 호세M. 보니노의 ⌜사람됨을 위하여⌟에서는 이렇게 말한다. 우리들이 선행을 하는 것이 때로 좋지 않은 결과로 빠지는 경우를 모면할 수 없다. 그래서 어떤 철학자들은 어떤 도덕적 문제들에 대해서 “타협”과 “양보”라는 말을 하게 된다. 이 말은 우리가 순수한 “선행”을 달성하기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. 우리는 더 큰 악을 피하기 위하여 필요악을 저지르는 경우를 당면하게 되는 수도 있다. 그러나 이런 ..